- 김(음식) - 나무위키
1 개요 [편집] 김과 김속, 또는 돌김속에 속하는 해조류 를 종이 형태로 얇고 넓게 펴서 말린 음식이다
- 김 - Wiktionary, the free dictionary
김 • (gim) laver (nori, a type of edible seaweed in the genus Porphyra) Synonyms: (rare) 해태 (海苔) (haetae), (chiefly dialectal) 해의 (海衣) (hae'ui)
- 김 효능 10가지, 매일 먹으면 부작용, 하루 섭취량, 영양성분, 김은 구우면 안되는 이유
아래에서는 김의 다양한 효능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 영양성분 김은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여 건강에 매우 이로운 해조류입니다 이 해조류는 저칼로리에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습니다
- 김 (음식)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김 은 김속 과 돌김속 의 해조류 를 넓은 곳에 평평하게 펴서 말려서 사각형으로 잘라서 먹는 음식 이다 그대로 먹거나 참기름 을 바르고 소금 을 쳐서 구워 먹는다
- English Translation of “김” | Collins Korean-English Dictionary
English Translation of “김” | The official Collins Korean-English Dictionary online Over 100,000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words and phrases
- 김, 왜 이름이 ‘김’일까? : 네이버 블로그
김 (海苔)은 해초인데 왜 ‘김’일까? ‘김’이라는 이름은 사실 사람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조선시대, 최초로 김을 인공적으로 양식한 사람의 이름이 바로 김여익 (金汝翼)입니다 그는 17세기 말 충청도 서천의 한 어촌에서 밀려오는 김 조각을 말려서 먹는 법을 개발했고, 이후 대나무 발 (발판
- 김 - Translation in English - bab. la
Translation for '김' in the free Korean-English dictionary and many other English translations
- K-Food: 김 (Gim)에 대하여 (김과 한국인 김 명칭의 유래)
김 (Gim)은 고려 충렬왕 때 일연스님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처음 등장하며ㆍ신라에도 ‘김’을 먹었다고 하니 삼국시대부터 한국인이 김을 먹은 것은 확실한 것 같다
|